반응형

 

1. 민방위의 본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민 자위 활동

2. 인도적 활동

3. 군사적 활동

4. 재난 대비 활동

 

2. 민방위 교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민방위 교육은 집합교육과 사이버교육으로만 운영된다. 

2. 1년차에서 5년차 대원은 사이버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3. 3~4년차 대원은 2시간의 사이버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4. 민방위 집합교육은 4시간으로 운영된다. 

 

3. 민방위 교육 종료의 시기로 옳은 것은?

1. 40세가 되는 해

2. 50세가 되는 해 

3. 민방위 10년 차 

4. 민방위 20년 차

 

4. 민방위 사이버교육 대상자로 옳은 것은?

1. 1년차 기술지원대 대원

2. 2년차 통리 민방위 대원

3. 3년차 직장 민방위 대원

4. 4년차 민방위 대장

5.  성인 대상 심폐소생술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슴압박 시 양손을 겹쳐서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 

2. 가슴압박 시 1분당 10~20회 정도의 속도로 압박한다. 

3. 가슴압박시 5cm 정도의 깊이로 눌러주는 것이 좋다. 

4. 가슴압박 후 기도를 개방하고 인공호흡을 시행한다. 

 

6. 응급처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상이 있는 경우 감염과 출혈에 주의해야 한다. 

2. 출혈 시 상처 부위를 꺠끗한 수건이나 거즈로 감싸 지혈한다. 

3. 골절 시 움직이지 않고 구급대원의 도움을 기다린다. 

4. 화상 부위에 붙은 옷이나 이물질은 모두 뗴어낸 후 치료한다. 

 

7. 화재 시 시설관리자의 행동요령으로 옳은 것은?

1. 가장 먼저 대피하여 119에 신고한다. 

2. 옥상으로 올라가 화재를 알린다. 

3. 소화전이나 소화기로 초기 진화를 시도한다. 

4. 불길이 커져도 사람들이 모두 탈출할 때까지 기다린다. 

 

8. 2015년 서울시에서 화재취약지역의 초기진화를 위해 도입한 공용소화기의 명칭은?

1. 쉬운 소화기

2. 보이는 소화기

3. 가까운 소화기

4. 우리동네 소화기 

 

9. 화학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생물이나 독소를 사용하여 살상을 일으킨다. 

2. 호흡기, 소화기, 피부 등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3. 이상한 냄새가 나고 피부가 화끈거리면 독가스 살포를 의심할 수 있다. 

4. 여러 사람이 쓰러지거나 근육경련 등의 증상이 있다면 독가스 살포를 의심할 수 있다. 

 

10. 화생방 상황 시 사용 가능한 대체물자에 해당하는 것은?

1. 신호봉

2. 휴대용앰프

3. 전자메가폰

4. 비닐봉투

 

11. 민방위 대피소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안전디딤돌 앱 확인

2. 국민신문고 접속

3. 국민재난안전포털 접속

4. 포털사이트 검색

12. 경계경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의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된다. 

2. 사이렌 없이 음성방송으로만 발령된다. 

3. 경계경보와 화생방경보는 경보 방법이 동일하다. 

4. 우리나라에서는 경계경보가 발령된 적이 없다. 

 

13. 핵 공격 전 행동요령으로 틀린 것은?

1. 생활필수품, 비상대비물자, 방독면 등을 준비한다. 

2. 가까운 높은 건물 고층으로 대피한다. 

3. 정부의 안내방송을 청취한다. 

4. 대피할 시간이 없는 경우 도랑, 주변 시설 등을 이용하여 충격 및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한다. 

 

14. 핵 공격 중 행동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핵폭발 방향으로 눈을 감고, 귀를 막으며, 입은 살짝 벌린다. 

2. 최대한 외부와 차단된 대피시설, 지하공간으로 대피한다. 

3. 건물 잔해에 다치지 않도록 신체를 보호한다. 

4. 섬광 등으로 공격 시작을 인지하였을 경우 움직이지 않는다. 

 

15. 해외여행 시 테러 대비 요령으로 옳은 것은?

1. 우리나라 대테러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테러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2. 영사콜센터에서 긴급상황이 아니여도 통역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3. 여행 국가의 지침과 언론보도를 수시로 확인한다. 

4. 위급상황 발생 시 정부 24를 통해 구조를 요청한다. 

 

16. 테러 발생 시 민방위 대원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주민을 대피시키고 방독면 착용을 돕는다. 

2. 군/경찰과 함께 테러범을 진압한다. 

3. 폭발물 발견 시 즉시 제거한다. 

4. 총기 난사에 대응하기 위해 총기를 소지한다. 

 

17.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으로 옳은 것은?

1. 숨을 곳이 없으면 무조건 밖으로 대피한다. 

2. 빠르게 대피하기 위해 승강기를 이용한다. 

3. 야간에 대비하여 전기는 차단하지 않는다. 

4. 야외에서 대피 시에는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한다. 

 

18. 건물 붕괴 사고 발생시 행동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의 통제에 따라 지정된 장소로 즉시 대피한다. 

2. 가족들과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직접 찾아간다.  

3. 대규모 지진으로 인한 건축물 붕괴 시 건물, 제방 인근으로 접근하지 않는다. 4. 확보한 물자는 아껴서 사용한다. 

 

19. 건물 붕괴 시 행동요령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차 붕괴 후에는 무너진 건물 주변으로 대피한다. 

2. 2차 붕괴나 낙하물에 대비하여 집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3. 무너진 건물에 갇히면 최대한 크게 소리쳐 구조를 요청한다. 

4. 입과 코를 옷으로 가려 먼지 흡입을 최소화한다. 

 

20. 다음 민방위 분대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1. 민방위대의 최소 단위다. 

2. 분대장은 민방위교육을 받지 않아도 된다. 

3. 상황전파, 대피통제, 인명구조, 지휘분대 등으로 편제된다. 

4. 개인별로 임무와 역할이 명확히 주어진다. 

 

21. 다음 중 민방위대 제대편성 분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중대급

2. 분대급

3. 소대급

4. 편성하지 않는다. 

 

22. 다음 중 인파 속 대응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경우는?

1. 상황을 파악하고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지 확인한다. 

2. 이동할 때는 인파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며 움직인다. 

3. 밀집 상황일 때 두 발로 곧게 딛고 다리를 벌리고 무릎을 살짝 굽힌다. 

4. 소리를 지르며 밀치고 뛰쳐나온다. 

 

23. 다음 중 화재 안전 수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소화기는 눈에 띄는 곳에 안전하게 놓는다. 

2. 소화전은 수압이 높아서 2명 이상이 함께 사용한다. 

3. 소화기 사용 요령을 익혀둔다. 

4. 비상구는 빈 박스, 쓰레기 등을 쌓아두는 곳으로 활용한다. 

 

24. 다음 중 주민 대피 시 민방위 대원의 역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주민들을 대피 장소로 안전하게 유도하기 

2. 긴급차량 통행 확보를 위해 차량 이동 통제

3. 복구활동 및 구호활동

4. 주민 대피 관리 감독

 

25. 민방위 대원의 교육훈련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민방위 사태 사전 예방과 응급조치 등 국민 행동 요령 교육

2. 군사교육

3. 건축설계 교육

4. 세무회계 교육

26. 다음 중 민방위 대원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탈북자는 민방위대원이 될 수 없다. 

2. 대한민국 국민인 남성으로 구성한다. 

3. 민방위대원은 20세가 되는 1월 1일부터 40세가 되는 해의 12월 31일까지이다. 

4. 여성도 지원에 의해 민방위 대원이 될 수 있다. 

 

27. 다음 중 감염병 예방을 위해 손을 씻는 방법 중 적절한 것은?

1. 손등을 씻을 필요 없다. 

2. 손은 빨리 씻는 것이 중요하다. 

3. 손은 깨끗하니 하루에 한 번만 씻는다. 

4.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씻는다.

 

28. 다음 중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본인이 안전 점검을 필수로 해야 할 곳은?

1. 공사장

2. 가정

3. 관공서

4. 옆집

 

29. 다음 중 민방공 경보 방법으로 맞는 것은?

1. 경계경보는 적의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한다. 

2. 자동차 경적도 공습경보의 일종이다. 

3. 해제 경보에는 재난 경보음을 취명한다. 

4. 공습경보음과 재난 경보음은 같다. 

 

30. 다음 중 화생방사태 시 전조 증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의심스러운 액체를 발견했을 때.

2. 동물이나 곤충 벌레가 죽어 있을 때.

3. 뚜렷한 이유 없이 콧물이 흐르고 호흡곤란이 있을 때 

4. 지나가던 사람이 폭력을 행사할 때 

반응형

+ Recent posts